본문 바로가기

마작/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마작의 대기

치즈와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작에서 중요한 개념 중 마작의 대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작에서 화료에서 한장이 부족한 상태를 텐파이 상태라고 합니다.

이 때, 이 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서 대기의 종류를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럼 각 대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단기대기
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머리의 역할을 할 때, 이를 단기대기라고 부릅니다.

다음이 단기대기의 예시입니다.

 대기 패

이러한 패의 경우 대기 패인 '중'이 손패에서 머리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이러한 패를 '중 단기대기'라고 합니다.


2. 샤보대기

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커쯔(똑같은 패 3장의 몸통)의 역할을 할 때, 이를 샤보대기라고 부릅니다.

다음이 샤보대기의 예시입니다.

대기 패

이러한 패의 경우 대기 패인 '중'과 '북'이 손패에서 커쯔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이 패를 '중, 북 샤보대기'라고 합니다.


3. 간짱대기

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슌쯔의 역할을 하면서, 부족한 패가 슌쯔의 가운데에 올 때, 이를 간짱대기라고 부릅니다.

다음이 간짱대기의 예시입니다.

   대기 패

이러한 패의 경우 대기 패인 '3통'이 손패에서 슌쯔의 역할을 하면서, 라는 슌쯔에서 가운데의 역할을 하기때문에, 이 패를 '3통 간짱대기'라고 합니다.


4. 양면대기

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슌쯔의 역할을 하면서, 부족한 패가 슌쯔의 양 옆 모두를 기다릴 때, 이를 양면대기라고 부릅니다.

다음이 양면대기의 예시입니다.

대기 패  

이 패에서 대기 패인 '5통'과 '8통'이 손패에서 슌쯔의 역할을 하면서 의 양쪽을 기다리는 대기이므로, 이를 '5통, 8통 양면대기'라고 합니다.


5. 변짱대기

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슌쯔의 역할을 하면서, 부족한 패가 슌쯔의 한 쪽만을 기다리는 모양일 때, 이를 변짱대기라고 부릅니다.

다음이 변짱대기의 예시입니다.

  대기 패

이 패에서 대기 패인 '7통'이 슌쯔의 역할을 하면서 의 한 쪽만을 기다리는 대기이므로, 이를 '7통 변짱대기'라고 합니다.


마작의 대기는 국사무쌍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위의 5가지 대기 중에 하나가 됩니다.

실제 마작을 할 때에는 여러가지의 대기가 혼합되거나, 중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가장 기본이 되는 위의 5가지 대기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즈와퍼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