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마작의 대기 치즈와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작에서 중요한 개념 중 마작의 대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작에서 화료에서 한장이 부족한 상태를 텐파이 상태라고 합니다. 이 때, 이 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서 대기의 종류를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럼 각 대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단기대기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머리의 역할을 할 때, 이를 단기대기라고 부릅니다. 다음이 단기대기의 예시입니다. 대기 패 이러한 패의 경우 대기 패인 '중'이 손패에서 머리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이러한 패를 '중 단기대기'라고 합니다. 2. 샤보대기부족한 패가 손패에서 커쯔(똑같은 패 3장의 몸통)의 역할을 할 때, 이를 샤보대기라고 부릅니다.다음이 샤보대기의 예시입니다.대기 패 이러한.. 더보기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리치마작의 점수계산법 - 판 안녕하세요. 치즈와퍼입니다. 기나긴 역에 대한 설명을 끝마치고 이번 포스팅부터는 리치마작의 여러가지 규칙들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이번 시간에는 리치마작의 점수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리치마작은 복잡한 점수 계산법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점수계산법 때문에 초보자가 입문할 때, 엄청난 양의 역과 함께 진입장벽이 됩니다. 점수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부'와 '판'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그 중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은 마작에서 패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패가 포함하고 있는 역들을 전부 센 후, 각각의 역에 해당하는 판수를 더하게 되면, 패가 가진 '판'이 됩니다. 예를 들어, 도라가 일 때, 다음과 같은 패를 리치 후 쯔모 화료.. 더보기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스깡쯔와 유국만관 안녕하세요. 치즈와퍼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기나긴 역 설명의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마지막 남은 역만인 스깡쯔와 특수 화료인 유국만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깡쯔 스깡쯔는 '네 개의 깡쯔'라는 뜻으로 깡을 4번 한 후 화료를 하면 얻을 수 있는 역입니다. 거의 나오지 않는 역만으로, 지난 번에 설명했던 천화보다도 더 안나오는 역만입니다. 한 번도 치기 힘든 깡을 네 번이나 쳐야하기 때문에 그 난이도가 엄청나게 되는데요. 다음이 스깡쯔의 예시입니다. 2. 유국만관 유국만관은 평범한 화료가 아니라서 패를 모아서 어떤 특정한 형태를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에, 버림패로 요구패, 즉 1이나 9, 자패만을 버려서 패산이 다 떨어질 때까지 버리는 데에 성공했다면 화료를 한 것으로 인정하는 룰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