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치즈와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똑같은 슌쯔를 사용하는 역인 이페커와 량페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페커
이페커는 동일한 슌쯔 2개를 모았을 때 생기는 역입니다. 쉬워보이지만 멘젠 상태일 때만 1판에 해당하는 역입니다.
다음 패를 예로 들어봅시다.
위의 패를 화료한다면 이라는 동일한 슌쯔가 2개 존재하기 때문에 이페커라는 1판 역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비슷한 예시로 다음 패를 보겠습니다.
위의 패는 을 자신의 힘으로 모았지만, 전체 패가 멘젠상태가 아니므로 이페커라는 역을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위의 패는 역이 없기 때문에 화료할 수 없습니다.
2. 량페커
량페커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슌쯔 2개를 2쌍 모았을 때 생기는 역입니다.
멘젠 상태일 때는 3판에 해당하는 강한 역이지만 멘젠 상태가 아닐 때에는 역을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빈도 수가 매우 낮은 역들 중에 하나입니다.
다음 패를 예로 들어봅시다.
위의 패는 이라는 슌쯔가 2개,
라는 슌쯔가 2개이기 때문에 량페커의 조건을 만족합니다. 따라서 량페커 3판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마작의 역을 계산할 때에는 중요한 규칙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완벽한 하위역에 대해서는 역을 합산하지 않는 것입니다.
량페커와 이페커가 적절한 예시인데요. 량페커 3판을 얻은 경우에는 이페커를 무조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페커에 해당하는 역은 받지 않게 됩니다.
즉, 다음과 같은 패를 론화료 했을 경우 량페커 3판만 받게 됩니다.
이상으로 같은 슌쯔를 사용하는 역인 이페커와 량페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도 많이 기대해 주세요.
'마작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마작의 아웃사이더, 치또이츠 (0) | 2018.01.09 |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패를 물들이다, 혼일색과 청일색 (0) | 2018.01.09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딱 봐도 이쁜 모양, 삼색동순과 일기통관 (0) | 2018.01.09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패의 형태에 따른 역, 핑후와 또이또이 (0) | 2018.01.09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사용하는 패의 종류에 따른 역, 탕야오와 찬타 (0) | 2018.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