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금 특별한 역이라고 할 수 있는 치또이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마작에서 화료를 하기 위한 기본 형태는 1개의 머리와 4개의 몸통을 만드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본 형태 외에도 화료를 할 수 있는 방법이 2가지 더 존재합니다.
하나는 이번 시간에 이야기할 '치또이츠'이고, 다른 하나는 나중에 역만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설명하게 될 '국사무쌍'입니다.
쨌든 치또이츠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치또이츠는 7개의 또이츠라는 뜻입니다. 즉, 1개의 머리와 4개의 몸통 대신에 7개의 머리로 14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형태로 화료했다면 치또이츠라는 2판짜리 역을 얻게 됩니다.
치또이츠의 경우 치나 퐁을 통해서 패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언제나 멘젠상태이며, 깡을 선언할 수도 없습니다.
다음 패를 예로 들어봅시다.
위의 패는 총 7개의 또이츠를 가지고 있으므로 치또이츠라는 2판 역을 얻게 됩니다.
치또이츠는 다른 역과 중첩될 수 있습니다.
다음 패를 쯔모화료 할 경우 혼일색 3판 + 치또이츠 2판 + 멘젠쯔모 1판으로 총 6판의 패가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치또이츠에서 주의할 점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또이츠를 만들 때에, 서로 다른 7개의 또이츠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즉, 같은 패 4장을 써서 2개의 또이츠를 만드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다음의 패는 화료 할 수 없습니다.
두번째는 이페커나 량페커와 중첩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페커와 량페커의 경우 '동일한 슌쯔 2개'를 만드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패여도 이페커의 역은 받을 수 없습니다.
다음 패를 봅시다.
이 패를 론화료했다면 치또이츠 2판 외에 이페커 1판은 추가되지 않습니다.
이 동일한 2개의 슌쯔가 아니라 연속된 3개의 머리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마작의 아웃사이더라고 할 수 있는 치또이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작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특수한 방법으로의 화료 (0) | 2018.01.10 |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찬타의 진화형, 준찬타와 혼노두 (0) | 2018.01.10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패를 물들이다, 혼일색과 청일색 (0) | 2018.01.09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똑같은 슌쯔, 이페커와 량페커 (0) | 2018.01.09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딱 봐도 이쁜 모양, 삼색동순과 일기통관 (0) | 2018.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