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패의 종류가 무엇인지 알아보며, 이와 관련된 역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작의 패는 이전에 포스팅했던 내용에 나왔듯이 수패와 자패로 나눌 수 있으며, 수패는 만수패, 통수패, 삭수패 3가지 종류가 있고, 자패에는 삼원패와 풍패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패의 분류 외에 다른 분류도 존재합니다.
다음의 슌쯔를 관찰해 봅시다.
~
슌쯔는 위와 같이 123부터 789까지 총 7종류가 가능합니다.
이 슌쯔들에 중앙에 올 수 있는 패는 부터
까지 총 7종류가 존재하는 데 이를 '중장패'라고 합니다.
중장패는 2부터 8까지 7개의 패가 총 3가지 종류의 수패에 존재하므로 21종류가 존재합니다. (~
,
~
,
~
)
또한, 수패 중에서 중장패가 아닌 패들, 즉, ,
,
,
,
,
6종류의 패를 '노두패'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노두패와 자패 7종을 합쳐서 '요구패'라고 하며 요구패는 총 13종류가 존재합니다.
위와 같은 패의 종류에 따라서 탕야오와 찬타라는 역이 생기게 됩니다.
1. 탕야오
탕야오라는 역은 한자로 '단요구'입니다. 즉, 요구패를 잘라내었다는 뜻으로 화료한 형태의 패에 요구패가 존재하지 않으면 1판에 해당하는 역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멘젠일 때만 역이 되는 곳도 일부 있지만 기본적으로 '퐁'이나 '치'를 통해서 만들어도 인정해줍니다. 이러한 형태의 탕야오를 '쿠이탕'이라고 얘기하며, 만들기 쉬운 역 중에 하나로 뽑힙니다.
다음과 같은 패를 예로 들어봅시다.
위와 같은 패에서 이 화료패가 되는데 위의 패는 '탕야오'라는 1판 역이 존재하므로 쯔모화료와 론화료 모두 가능하게 됩니다.
2. 찬타
찬타는 '혼전대요구'의 준말입니다. 뜻을 풀어써보면 모든 몸통과 머리에 요구패를 포함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멘젠 상태일 때는 2판에 해당하는 강한 역이지만, 울어서 만들면 1판으로 줄어드레 됩니다. 하지만 그 만큼 멘젠으로 만들기는 힘든 역입니다.
동1국의 동가가 다음 패를 쯔모화료했다고 합시다.
위의 패는 멘젠쯔모 1판 + 연풍패 '동' 2판 + 찬타 2판으로 5판에 해당하는 패가 됩니다. 리치를 선언하였다면 6판이 되겠지요.
비슷한 상황으로 동1국의 동가가 다음 패를 쯔모화료했다고 합시다.
위의 패는 연풍패 '동' 2판 + 찬타 1판으로 3판에 해당하는 패가 됩니다.
이렇게 찬타의 경우에는 멘젠과 멘젠이 아닌 경우 패의 세기가 많이 차이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요구패와 중장패, 노두패에 대한 설명과 탕야오와 찬타라는 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핑후와 또이또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작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딱 봐도 이쁜 모양, 삼색동순과 일기통관 (0) | 2018.01.09 |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패의 형태에 따른 역, 핑후와 또이또이 (0) | 2018.01.09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화료행 티켓, 역패 (0) | 2018.01.08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리치마작의 꽃, 리치, 일발 그리고 멘젠쯔모 (0) | 2018.01.06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역은 아니지만 중요하다, 도라 (0) | 201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