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퍼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역'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서 '역'은 아니지만 리치마작에서 매우 중요한 '도라'와 패산을 나누는 방법, 그리고 영상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 국이 시작할 때, 각 플레이어는 패산을 17매를 2층으로 34매씩 쌓습니다. 그 후, 어디서부터 패산을 사용할 지를 주사위를 통해 정합니다. 흔히 얘기하는 '기리'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첫 친을 정하기 위한 주사위 굴리기와 동일하게 주사위를 굴립니다. 주사위의 합에 해당하는 사람이 오른쪽에서 주사위의 합만큼 뗍니다.
만약, 8이 나왔다면 자신의 전 사람이 오른쪽에서 8칸, 즉 16매의 패를 떼게 되는 것입니다.
그 후, 뗀 패의 왼쪽부터 친부터 번갈아가며 4장씩 3번 가져간 후, 마지막으로 한 장씩 가져가면 배패(패를 받는 것)이 완료되게 됩니다.
패산을 뗀 부분부터 오른쪽으로 7칸의 패, 즉 14장의 패를 왕패라고 부릅니다. 이 패들은 게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즉, 왕패를 제외하고 모든 패를 사용하게 됩니다.
대국 중에는 왕패 중에서 왼쪽에서 3번째의 위쪽 패를 모두 볼 수 있도록 공개하게 됩니다. 이를 '도라표시패'라고 합니다. '도라표시패'의 다음 패가 이번 국의 '도라'가 됩니다. '도라'는 가지고 있으면 화료를 했을 때, 추가로 패의 판수를 올려주는 보너스 패가 됩니다.
만약 도라표시패가 3만이라면 4만이 도라, 8통이라면 9통이 도라가 됩니다. 9가 도라표시패일 때는 1이 도라가 됩니다.
자패가 도라표시패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도라표시패가 정해집니다.
->
->
->
->
->
->
->
예를 들어, 도라표시패가 이라면
이 도라가 되고,
이라면
가 도라가 됩니다.
도라표시패의 왼쪽에 있는 2칸, 4매의 패를 영상패라고 합니다. 깡이 발생했을 경우, 4장을 한 개의 몸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부족해진 패를 영상패에서 보충하게 됩니다.
또한, 도라표시패의 오른쪽 패를 공개하게 되는데, 이 공개하는 패 또한 새로운 도라표시패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깡이 발생한 회수만큼 도라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왕패의 개수는 항상 14장으로 고정됩니다. 따라서 깡이 발생했을 때는 원래 패산의 마지막 패를 왕패에 추가합니다.
이상으로, 패산을 나누는 방법과 영상패, 그리고 '도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말로 중요한 점으로 제목에도 나와있지만, '도라'는 역이 아닙니다.
따라서, 도라가 있으면 패의 판수는 늘어나지만 다른 역을 포함하지 않고 도라만 있을 때에는 역시 화료가 불가능합니다.
이것으로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부터는 진짜로 리치마작의 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
'마작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화료행 티켓, 역패 (0) | 2018.01.08 |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리치마작의 꽃, 리치, 일발 그리고 멘젠쯔모 (0) | 2018.01.06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리치마작의 역 (0) | 2018.01.05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발성 (0) | 2018.01.05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텐파이와 화료 (0) | 2018.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