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치즈와퍼입니다.
이번 게시글부터는 리치마작의 '역'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이전에도 간략히 얘기하고 넘어간 부분인데요. 리치마작에서 화료를 하기 위해서는 '역'이 있어야 합니다.
'역'은 패가 만족해야하는 특정한 조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고스톱의 홍단이나 청단, 포커의 스트레이트나 플러시같은 족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것 같아요.
즉, 기본적으로 1개의 머리와 4개의 몸통으로 패를 만들면서 동시에 각각의 머리와 몸통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패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텐파이 상태의 패를 예로 들어봅시다.
여기서 을 스스로 뽑거나 다른 사람이 버리면 1개의 머리와 4개의 몸통으로 화료를 할 수 있는 형태가 되지만, 위의 패는 화료를 할 수 없습니다. '역'이 없기 때문이죠.
머리와 몸통이 전부 제각각이라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료를 하기 위해서는 '역'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 여러 포스팅 동안 리치마작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역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판짜리 역('판'이 역의 단위가 됩니다. 고스톱의 '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부터 역만이라고 하는 강력한 패들까지 하나하나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포스팅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작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리치마작의 꽃, 리치, 일발 그리고 멘젠쯔모 (0) | 2018.01.06 |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역은 아니지만 중요하다, 도라 (0) | 2018.01.05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발성 (0) | 2018.01.05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텐파이와 화료 (0) | 2018.01.04 |
[치즈와퍼의 마작 A to Z] 머리와 몸통 (0) | 2018.01.04 |